비교적 간단한 신고,
세금 납부 등으로 매 달마다 지출이
생기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프리랜서, 일용직 등 외부 인력을 사용했을 때
해야 하는 ‘프리랜서 원천징수’란 무엇일까요?
원천징수란 무엇일까요?
소득 또는 수입 금액을 지급하는 자(원천징수의무자)가
그 금액을 지급할 때 상대방(원천납세의무자)이
내야 할 세금을 국가를 대신하여
징수하고 납부하는 조세 징수방법 입니다.
프리랜서원천세란 무엇일까요?
소득세법상 소득에 대한 일정 비율의 세금을 소득을 지급하기 전 미리 부과해 공제하는 세금으로 보통 프리랜서의 경우 3.3%를 공제합니다. 원천세 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 추후 지출 증빙을 해야 할 때 상당히 번거로운 입증 과정을 거처야 하기 때문에 원천세 신고 후 경비처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x) 프리랜서 지급액이 100만원일 때 3.3%인 33,000원은 세금 납부 / 967,000원은 프리랜서에게 입금
원천세 신고 기간 – 매월 16일부터 지급월의 다음달 10일까지 제출(예를 들어 3월에 프리랜서에게 비용을 지급한 경우 3/16 ~ 4/10 내에 신고해야 함)
소득세 3%, 지방세 0.3% 합계 3.3%의 세금 공제
홈택스 에서 프리랜서 원천징수 방법은?
1) 홈택스 접속 합니다.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2) 상단 메뉴 신고/납부 -
세금신고 - 원천세 클릭 합니다
3) 일반신고의
정기신고 작성 클릭합니다.
매월 신고납부기한이 있으니 맞춰서 접수해야합니다.
매월 16일부터 지급월의 다음달 10일까지 제출합니다.
4) 기본 정보 입력합니다. ( 프리랜서 정보 입력이 아닌 사업자의 정보 입력 )
-사업자등록번호 입력,
- 징수의무자 제출년월
- 귀속년월
- 지급년월 입력
- 소득종류선택은 사업소득으로 합니다.
인원수 -
임금을 지급한 프리랜서의 수를 입력
총지급금액 -
총지급금액을 입력
(원천세 3.3%를 빼지 않은 금액을 넣어주십시오.)
소득세 -
총지급금액의 3%에 해당하는 금액을 입력
( 원천세는 3.3%인데, 여기서 3%만 입력하는 이유는
남은 0.3%를 따로 납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
파견근로자거나 비거주자를 제외한 경우에는 해당 부분은
체크하지 않고 저장 후 다음으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이후 신고서 부표 작성 화면에는 아무 것도 나오지 않는데
마찬가지로 신고서 작성 완료를 하시면 됩니다.
납부하기 클릭 후
카드,
계좌이체,
기타 방법으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3.3% 중 3% 납부 후
0.3%는 위택스에서 지방소득세로 납부합니다.
'유용한TIP >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 취득세 부과대상 세금계산법 유상취득 증여 신축 세금 (2) | 2022.08.15 |
---|---|
개인사업자 부가세 직접 신고 방법과 사업용신용카드의 공제되는 부분 확인 방법 (0) | 2022.01.17 |
일반과세자 홈택스에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하는 방법은? (0) | 2021.04.19 |
홈텍스에서 세금계산서 발행하는 방법 , 일반과세자 및 법인 참고하세요 (0) | 2021.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