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프 벽면 페인팅시 필요한 재료에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젯소
1) 젯소는 코팅이 되어 있는 면에 페인트가 강하게 붙도록 해주며
2) 기존의 짙은 색을 가려주며 페인트 컬러의 발색을 높여 줍니다.
3) 라돈 가스 차단의 역할도 하는 초벌제 (하도제) 입니다.
벽면의 색이 진하거나 포인트 벽지가 붙어있는 벽을 화이트 페인트로 칠하고 싶을 때,
젯소 (셀렉트)를 먼저 칠해주시면 페인팅 횟수를 줄이고 더 깨끗하게
컬러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문이나 몰딩, 가구 등 나무 느낌의 시트지나 필름지가 붙어있는 곳에
페인트를 칠하고 싶을 때, 젯소 (블럭잇)를 먼저 칠해 주셔야 페인트를 강하게
부착시킬 수 있습니다.
젯소는 흰색, 무광으로 페인트를 칠하듯이 발라주시면 되는데
완전히 하얗게 칠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안 칠해진 곳만 없도록 꼼꼼히 얇게 발라주시고
4~6시간 건조 후 페인트를 칠해주시면 됩니다.
이 때 젯소를 사용한 붓과 롤러, 트레이는 모두
세척해주시거나 교체 후 페인트를 칠해줍니다.
페인트는 기본 2회 칠, 건조시간은 약 4시간
건조시간은 길면 좋습니다.
예로들면 1회 칠한 뒤 4시간 이상 건조 후 2회 칠합니다.
셀프 벽 페인팅에 필요한 도구는?
1) 트레이
페인트를 필요한 만큼 덜어서 사용할 때 필요합니다.
붓이나 롤러에 알맞는 양을 고르게 묻혀야 매끈하게
페인팅이 가능하며 트레이는 이를 편리하게 해줍니다.
비닐을 깔고 사용하면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2) 브러쉬 ( 붓 )
주로 좁은 면적을 칠할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문틀, 몰딩,, 가구의 틈새 부분 등 섬세한 작업을 할 때에는
앵글붓을 사용하면 효율적으로 작업이 가능합니다.
3) 롤러
주로 넓은 면적을 칠할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벽면용으로는 6~9인치, 문 가구용으로는 4~6인치를 사용합니다.
롤러의 털 길이가 3.8mm 정도로
짧은 것은 비교적 평평한 면, 5mm로 긴 것은 울퉁불퉁한 면을
칠할 때 좋습니다.
4) 마스킹 테이프
페인트 칠의 절반은 보양작업이라고 할 정도로
페인트가 묻으면 안되는 면을 테이프로 가려주는 작업이 가장
중요합니다. 마스킹 테이프는 페인트라인을 깔끔하게 만들어주는
보양 테이프입니다.
5) 커버링 테이프
페인트 칠의 절반은 보양작업이라고 할 정도로 페인트가 묻으면
안 되는 면을 테이프로 가려주는 작업은 가장 중요합니다.
커버링 테이프는 테이프에 비닐이 붙어 있어 바닥 또는 넓은 면을
보호합니다.
6) 지퍼백
페인팅 작업 도중 휴식하거나 1회 칠 한 후 건조시간동안 페인트와 도구가
마르지 않게 보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붓과 롤러를 트레이에 둔 채로 지퍼백에 넣으면 한 번에 밀봉이 가능합니다.
7) 캔 오프너 & 우드믹서
캔 오프너는 페인트 뚜껑을 열 때 사용하며 우드믹서는 페인트 사용 전
페인트를 저어서 컬러가 고르게 발색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8) 폴대
롤러 프레임에 끼워 높은 곳을 칠 할 때 사용합니다.
9) 실링에디저
테이프 작업을 하지 않아도 모서리를 칠 할 때 옆면에 페인트가
묻지 않고 깔끔하게 칠 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리필 커버가 있어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10) 스파우트
페인트통 입구에 끼워서 사용합니다.
페인트를 부을 때 통에 페인트가 흐르지 않아 남은 페인트를
깔끔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11) 라텍스 장갑
페인트 작업 시 손에 페인트가 묻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일회용 라텍스 장갑입니다.
부드러운 감촉과 손에 착 달라붙어 작업 시 편하게 사용합니다.
벽 셀프 페인팅 방법은?
1) 먼지를 털어주고 페인트가 묻지 않아야 하는 부분에
커버링 및 마스킹테이프를 붙여줍니다.
페인트가 스미지 않도록 페인트와 맞닿는 부분을 장감,
천 등으로 한 번 더 꾹 눌러줍니다.
2) 가장자리, 굴곡진 면 등 롤러로 칠 할 수 없는 부분부터
먼저 붓으로 칠해줍니다. 칠하면서 보이는 눈물자국 (흐르는 자국)은
바로 쓸어서 없애줍니다.
3) 롤러에 분무기로 물을 뿌리고 손으로
쓸어서 정리해 준 뒤, 페인트를 골고루 묻혀줍니다.
롤러의 모든 면에 페인트를 골고루 묻히고, 트레이의 경사진 면에
굴린 후 사용합니다.
4) 젯소 또는 페인트를 뭉치지 않게 넓게 발라준 뒤,
사이사이 면적에 고르게 펴발라줍니다.
1회 칠할 때 희끗해 보여도 계속 덧칠하지 않고
완전히 건조한 후에 칠해줍니다.
5) 완전히 건조시킨 후 채칠합니다.
젯소-> 페인트로 넘어갈 때에는 도구를 세척합니다.
4시간 이상 건조시키는 동안 다시 사용할 도구들은 굳지 않게
지퍼백에 꼭 보관해 둡니다.
6) 페인트 작업이 모두 끝나면 커버링 및 마스킹 테이프를 제거합니다.
이미 말랐을 경우엔 페인트가 같이 떨어지지 않도록 칼로 선을
그어준 후에 천천히 떼어줍니다.
7) 페인트 작업이 끝난 붓과 롤러는 바로 미온수로 세척하고 깨끗한 물에
3~4시간 담가줍니다. 굳기 전에 세척하면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미 굳고 난 후에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니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8) 페인트가 남았을 경우엔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뚜껑을 꽉 닫아 그늘에서 보관합니다. 최대 2년 까지 사용이
가능하며 얼지 않도록 유의합니다.
셀프 페인팅 준비시 유의해야 할 점은?
옷차림은 페인트가 묻어도 되는 신발과 옷을 입습니다.
보양 테이프를 붙인 뒤에 페인트가 사이로 스미지 않도록 휴지나
장갑으로 한 번 더 꾹 눌러줍니다.
트레이에 일회용 비닐을 깔고 그 위에 페인트를 부어서 사용하면
트레이를 별도로 세척할 필요가 없습니다.
페인트를 트레이에 부을 때엔 스파우트를 사용하거나 흐르는 페인트를
붓으로 쓸어주면 깨끗하게 보관이 가능합니다.
작업시 유의사항은 뭘까요?
젯소 작업 시, 완벽히 하얗게 칠할 필요 없으며 꼼꼼하게
안 칠해진 부분만 없이 얇게 발라줍니다.
좁은 면을 붓으로 먼저 칠해준 뒤, 롤러로 나머지 넓은 면을 칠해줍니다.
롤러에 페인트를 뭍힐 때, 모든 면을 충분히 적셔준 뒤 트레이의 경사면에 굴려
덜어서 작업합니다.
롤러는 가장자리에서 약간 떨어진 부분에서 시작합니다.
그래야 가장자리에 뚜껍게 뭉치지 않습니다.
롤러는 처음에 많이 묻어있는 페인트를 약간 넓게 펼쳐준 뒤 사이사이와
나머지 면적에 펴 바릅니다.
롤러를 굴릴 때 너무 힘주지 않고 칠해야
셀프레벨리 효과로 마른 뒤에도 면이 깔끔합니다.
먼저 칠한 부분이 마르기 전에 성급하게 덧칠하지 않습니다.
덧칠한 부분이 얼룩이 질 수 있기 때문에 완전히 건조시킨 후 2회 칠을 해줍니다.
두껍게 칠하기 보다는 얇게 여러번 칠해야 표면을 훨씬 매끄럽고 단단하게 만듭니다.
중간중간 쉴 때, 붓과 롤러를 페인트에 담가 공기 노출을 최소화합니다.
굳으면 세척이 안되어 재사용이 안됩니다.
페인트는 2회 칠합니다. 1회 칠 후 약 4시간 충분히 건조 후 2회 칠합니다.
습한 날은 페인트가 잘 마르지 않기 때문에 건조시간을 오래둡니다.
페인트가 묻지 않아야 하는 다른 곳에 묻었을 떄에는 바로 물티슈로 닦습니다.
페인트가 다른 곳에 묻었는데 굳었다면 긁어서 떼어내고, 이미 흡수되었다면
페인트 리무버를 사용하여 지워줍니다.
눈물자국 이 굳어 있다면, 완전히 마른 뒤에 사포로 자국을 없애고 덧칠합니다.
페인트를 다 칠 한 후 정리할때는?
2회 칠이 끝난 뒤에 표면이 어느 정도 마르면 약 30분 후 보양테이프를
바로 떼어냅니다. 오래두면 페인트와 같이 떨어지거나 안떨어질 수 있습니다.
사용한 붓과 롤러는 굳어지기 전에 미지근한 물로 깨끗히 씻어내고
깨끗한 물에 3~4시간 담가준 후 그날에 건조시키면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페인팅 후 통에 페인트가 남았을 경우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뚜껑을 꽉 닫아 보관하면
최대 2년까지도 사용가능하며 얼지 않게 유의합니다.
보관되 있던 페인트를 재사용할때는 잘 흔들어 저어서 사용합니다.
실내용 페인트의 광도는 뭘 써야할까?
실내 벽면은 벨벳광과 계란광을 많이 씁니다.
벨벳광은 무광페인트와 많은 공통점이 있으나 각도에 따라 약간의
광이 보일 수 있습니다. 무광보다는 청소가 용이한 장점이있습니다.
계란광은 계란껍질 같은 은은한 광이며 벨벳광보다는 얼룩에 대한 저항이
좋습니다. 내구성이 더 중요한 공간에 많이 사용하는 광도입니다.
스튜디오처럼 빛 반사가 없어야 한다면 손이 거의 타지 않는 벽면은
무광을 사용해도 무관합니다.
벽지를 꼭 떼고 작업을 해야할까?
벽지위에도 페인팅이 가능합니다.
벽지가 손상이 많다면 떼어내고 하거나 초배지만 남기고 깔끔하게 뜯어내어
칠합니다. 목공으로 기존 벽지 위에 석고보드로 가벽을 대고 페인트를
칠하게도 합니다.
벽이 구멍이 있다면??
구멍에 수성 실리콘이나 퍼티작업을 했다면 페인트칠했을때
얼룩덜룩 해질 수 있으니 전체적으로 젯소를 발라주고 나서 페인트를
칠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벽지 위에 곰팡이가 있다면??
곰팡이를 털어낸 뒤 몰드킬링 프라이머를 1~2회 발라줍니다.
몰드킬링 프라이머가 건조되면 벽면용 페인트로 마감해주면 됩니다.
몰드킬링 프라이머는 곰팡이균, 냄새를 제거해주는 프라이머
페인트 이전에 발라주는 하도제입니다.
'유용한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차 재난지원금 신청방법과 신청 대상자 는? (0) | 2021.03.08 |
---|---|
아이폰 비밀번호 6자리 4자리로 변경하는 법? (0) | 2021.03.05 |
온비드 공매입찰 방법과 토지시세 인터넷으로 조회하는 방법 (0) | 2021.02.25 |
Etsy 엣시 가입하기 정산 디지털파일 등록 샵오픈 방법 tip (0) | 2021.02.23 |
온비드 공매물건 조회방법과 캠코 부동산의 종류는? (0) | 2021.02.13 |
댓글